기업이 비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보고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조와 회계 정책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특히 제조, 연구 개발, 판매 및 관리 등의 비용을 구분하는 방식은 회계 및 재무 관리를 더욱 명확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에 따라, 비용 구분을 위한 두 가지 대표적인 방법인 기능영역(Functional Area) 활용계정 분리 방식을 비교하고, 프로젝트 운영 측면에서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할지 살펴보겠습니다.


1. 비용 구분의 전제 조건

비용을 효과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제 조건을 고려해야 합니다.

  • 조직 구조: 한 부서(조직 단위)는 하나의 코스트센터와 1:1 매핑됨.
  • 회계 구분 필요: 비용을 판매(Sales), 관리(Admin), 연구개발(R&D), 제조(Production)로 구분하여 보고해야 함.
  • 옵션:
    • 기능영역(Functional Area)을 활용하여 하나의 G/L 계정에서 비용 성격을 구분.
    • G/L 계정 세분화를 통해 비용을 별도의 계정으로 분리.

2. 기능영역(Functional Area) 활용 방식

1) 특징

  • 하나의 G/L 계정을 사용하되, 문서 입력 시 기능영역을 판매/관리/연구/제조로 구분.
  • 코스트센터는 부서 기준으로만 운영되며, 비용 성격은 Functional Area로 구분함.

2) 장점

  • 계정 수 최소화: 계정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 SAP 표준 기능 활용 가능: Report Painter/Writer 등을 통해 쉽게 비용 구분 가능.
  • 유연성: 비용 구분 기준이 변경되더라도 계정 구조 수정 없이 대응 가능.

3) 단점

  • 사용자 입력 부담 증가: 전표 입력 시 기능영역을 정확히 지정해야 함.
  • 간접비 배분 복잡: Assessment나 Distribution을 통한 비용 재분배 시 추가 설정 필요.
  • 숙련도 요구: 실무자가 비용 성격을 올바르게 판단해야 하는 어려움 존재.

3. 계정 분리 방식

1) 특징

  • G/L 계정을 판매비, 관리비, 연구비, 제조비 등으로 분리.
  • 전표 입력 시 해당 계정을 선택하여 비용 성격을 자동 구분.

2) 장점

  • 직관적이고 명확한 구분: 계정 이름만으로 비용의 성격을 쉽게 파악 가능.
  • 보고서 작성 용이: 계정별 집계만으로 판매/관리/연구/제조 비용 구분 가능.
  • 사용자 입력 편의: 기능영역보다 실수 확률이 낮고, 전표 입력이 단순화됨.

3) 단점

  • 계정 수 증가: 비용 항목이 많아질수록 계정 수도 증가함.
  • 마스터데이터 관리 부담: 신규 비용 항목이 생길 때마다 계정을 추가해야 함.
  • 회계정책 변화 대응 어려움: 연구비용 포함 범위 변경 시 G/L 계정을 조정해야 하는 부담이 있음.

4. 프로젝트 전체 관점에서의 고려사항

사용자 숙련도 및 일정

  • Functional Area 방식은 설정이 간단하지만, 사용자의 입력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 계정 분리 방식은 익숙한 방식이므로 실무자가 쉽게 적응할 수 있음.

보고 및 관리의 목적

  • 연구비 내부에서도 인건비, 재료비, 시험비 등을 더 세분화해야 한다면 계정 분리가 적합.
  • 연구비 자체만 보고하면 되는 경우 Functional Area 활용이 더 유연할 수 있음.

기존 회계 시스템과 연계성

  • 기존에 계정 분리 방식으로 운영 중이라면 변경 시 사용자 교육이 필요함.
  • IFRS 및 내부회계관리 규정에 따라 비용 분류 체계를 조정해야 하는 경우 계정 분리가 더 직관적임.

SAP 모듈 연계 (CO-OM, CO-PA 등)

  • CO-PA(손익 분석)나 CO-OM(간접비 관리)에서 어떤 기준을 사용할지 고려해야 함.

5. 결론 및 권장사항

🔹 일반적인 프로젝트에서는 계정 분리가 더 직관적이고 안정적인 방식입니다.

  • 계정이 너무 많아지지 않도록 큰 카테고리(판매, 관리, 연구, 제조) 중심으로 설계하면 효율적으로 운영 가능.
  • Functional Area를 활용하지 않는다면, 계정을 통해 비용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향후 세부 분석이 필요하면 CO-PA 또는 내부오더 등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음.

권장 접근법:

  1. 기본적인 비용 구분(판매/관리/연구/제조)은 계정으로 관리.
  2. 세부 비용 구분이 필요한 경우에는 CO-PA, 내부오더 등을 활용하여 추가 분석 가능.
  3. Functional Area는 추가적인 관리 툴로 고려하되, 주요 비용 구분은 계정 중심으로 진행.

이러한 접근법을 통해 사용자의 실무 적응력을 높이고, 관리의 복잡성을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비용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SAP #회계 #G/L계정 #FunctionalArea #코스트센터 #ERP운영

Author: 모요
댓글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

©2024 MOYO Blog with DAON Consulting Co,LTD.

CONTACT US

We're not around right now. But you can send us an email and we'll get back to you, asap.

보내는 중입니다..

로그인하세요.

계정 내용을 잊으셨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