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에서 세금액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총액 기준 (Gross Amount 기준, 매입채무 포함)
- 순액 기준 (Net Amount 기준, 공급가액 기준)
이 두 가지 방식 중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세금 계산 로직이 달라지고, 실제 SAP 전표 기표 시 데이터가 처리되는 방식도 달라집니다.
오늘은 SAP의 세금 계산 방식과 주요 Function, 그리고 실무에서 어떤 방식으로 세금이 계산되는지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
1. 총액을 기준으로 세금 계산하는 방법
함수명:
CALCULATE_TAX_FROM_GROSSAMOUNT
이 방식은 세금이 포함된 금액(AP 금액, 총액)을 기준으로 세금을 역산하는 방법입니다.
예제 1: VAT 22% 적용 시
총액(매입채무 포함) = 100 EUR
세금 계산:

순액(공급가액) = 81.97 EUR
즉, 총 100 EUR을 지급해야 하는 경우 공급가액은 81.97 EUR, 세금액은 18.03 EUR이 됩니다.
2. 순액(공급가액)을 기준으로 세금 계산하는 방법
함수명:
CALCULATE_TAX_FROM_NET_AMOUNT
이 방식은 세금이 포함되지 않은 공급가액(순액)을 기준으로 세금을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예제 2: VAT 22% 적용 시
순액(공급가액) = 100 EUR
세금 계산:
100×1.22−100= 22 EUR
총액(매입채무 포함) = 122 EUR
즉, 100 EUR의 공급가액에 22 EUR의 세금을 더해 총 122 EUR을 지급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3. SAP에서 실제 적용 예시
1) Automatic Calculate 방식 (세금 포함 금액 기준 기표)
SAP에서 Calculate tax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세금이 포함된 금액이 비용 라인에 입력되며, 나중에 SAP에서 자동으로 세금액을 계산하여 전표를 나눕니다.
예제:
- AP 금액 = 48,720 입력
- 비용도 48,720 입력 (공급가액 + 세금)
Calculate Tax
옵션이 체크됨
💡 이때, SAP는 VBSEGS 테이블에 세금 포함 금액을 저장했다가, POST 시 자동으로 BSEG(공급가액)와 BSET(세금)으로 나누어 저장합니다.
즉, SAP에서 자동으로 총액에서 세금액을 분리하는 방식입니다.
🔹 AP 금액 48,720에서 공급가액과 세금 계산하는 방법
CALL FUNCTION 'CALCULATE_TAX_FROM_GROSSAMOUNT'
EXPORTING
COMPANY_CODE = '1000'
TAX_CODE = 'V1'
CURRENCY = 'KRW'
AMOUNT_GROSS = '48720'
IMPORTING
WMWST = 세금액
KAWRT = 공급가액.
📌 결과:
- KAWRT (공급가액) = 42,000
- WMWST (세금) = 6,720
💡 즉, 순수한 비용 금액(KAWRT)만 예산과 비교하면 됩니다!
2) Manual Calculate 방식 (공급가액 기준 기표)
SAP에서 Calculate tax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공급가액과 세금을 별도로 입력해야 합니다.
예제:
- AP 금액 = 48,720 입력
- 비용 라인에 공급가액 42,000 입력
- 세금(6,720)은 별도 라인에 입력
Calculate Tax
옵션이 체크되지 않음
💡 이 경우 SAP는 공급가액(42,000)은 VBSEGS에, 세금(6,720)은 VBSET에 개별적으로 저장합니다.
📌 즉, 입력된 공급가액(42,000) 그대로 예산 잔액과 비교하면 됩니다.
4. 총액 vs. 순액 방식 비교
구분 | 총액(Gross) 방식 (CALCULATE_TAX_FROM_GROSSAMOUNT ) | 순액(Net) 방식 (CALCULATE_TAX_FROM_NET_AMOUNT ) |
---|---|---|
세금 포함 여부 | 세금 포함된 총 금액(AP 금액)에서 역산 | 세금 제외된 공급가액에서 세금 계산 |
SAP 처리 방식 | BSEG(공급가액)과 BSET(세금)으로 자동 분리 | BSEG(공급가액)과 VBSET(세금) 개별 입력 |
전표 입력 방식 | 세금 포함 금액 입력 → SAP가 분리 | 공급가액 입력 + 세금은 별도 입력 |
예제 계산 (VAT 10%) | 48,720 → 공급가액 42,000 + 세금 6,720 | 공급가액 42,000 → 세금 6,720 추가 |
5. SAP에서 총액 기반으로 세금 계산하는 함수
💡 자동으로 세금 포함 금액에서 공급가액과 세금을 분리해야 한다면, CALCULATE_TAX_FROM_GROSSAMOUNT
함수를 사용하세요!
CALL FUNCTION 'CALCULATE_TAX_FROM_GROSSAMOUNT'
EXPORTING
COMPANY_CODE = '1000'
TAX_CODE = 'V1'
CURRENCY = 'KRW'
AMOUNT_GROSS = '48720'
IMPORTING
WMWST = 세금액
KAWRT = 공급가액.
📌 결과:
- KAWRT (공급가액) = 42,000
- WMWST (세금) = 6,720
💡 KAWRT
값을 예산 잔액과 비교하면 됩니다!
마무리
SAP에서 세금 계산을 자동으로 할 것인지, 수동으로 입력할 것인지에 따라 전표 기표 방식이 달라집니다.
✅ 세금 포함 금액(AP 금액) 기준 계산
CALCULATE_TAX_FROM_GROSSAMOUNT
함수 사용- SAP에서 자동으로 세금과 공급가액을 분리
- 예산 비교 시 공급가액(KAWRT)만 확인
✅ 공급가액 기준 계산
CALCULATE_TAX_FROM_NET_AMOUNT
함수 사용- 공급가액과 세금을 개별 입력
- 입력된 공급가액 그대로 예산과 비교
SAP에서 어떤 방식이 사용되는지 확인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세금 계산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관련 태그
#SAP #세금계산 #부가세 #회계 #전표처리 #ER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