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실적인 계약 협상 전략 – “무조건 내 입장 고수 vs. 적절한 타협”

💡 무조건 내 입장만 주장하면?

  • 계약 자체가 어려울 가능성이 높음
  • “계약서 수정 요청이 너무 많다”는 이유로 불리한 인상을 줄 수도 있음

💡 모든 걸 양보하면?

  • 결국 장기적으로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음
  • 추가 업무 강요, 야근, 지급 지연 등 불리한 상황이 생길 수 있음

🚀 ➡️ 현실적으로 가장 좋은 방법:
👉 “핵심적인 부분”은 지키면서도, “받아들일 수 있는 범위”에서 타협하는 전략이 필요함.


📌 1. 계약 협상 시 반드시 고수해야 할 핵심 조항 (꼭 지켜야 할 것)

✅ 1) 계약 해지 조항 – 일방 해지 방지

  • 고객사가 언제든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조항이 있으면 위험
  • 최소한 “사전 통보 기간 30일” 또는 “조기 해지 시 보상금” 명시 요청
  • ✍️ 예시: “고객사가 중도 해지할 경우, 잔여 계약 금액의 50%를 보상한다.”

✅ 2) 보수 지급 일정 – 지급 지연 방지

  • “프로젝트 종료 후 지급” → 이런 조항이 있으면 몇 개월씩 밀릴 가능성이 있음
  • 최소한 “매월 말일 지급” 또는 “30일 이내 지급” 명시 요청
  • ✍️ 예시: “매월 말일 지급하며, 7일 이상 지급 지연 시 연체 이자를 부과한다.”

✅ 3) 추가 업무 발생 시 협의 조항

  • “기타 관련 업무 포함” → 이런 조항이 있으면 무제한으로 업무가 추가될 수 있음
  • 최소한 “추가 업무 발생 시 별도 협의” 문구 삽입 요청
  • ✍️ 예시: “계약 범위 외 추가 업무 발생 시, 별도 계약을 통해 진행한다.”

✅ 4) 저작권 및 산출물 소유권 확인

  • 계약 종료 후 포트폴리오 활용 가능 여부 명시
  • ✍️ 예시: “프리랜서는 본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포트폴리오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 2. 현실적으로 타협할 수 있는 부분 (협상 여지가 있는 항목)

💡 1) 출퇴근 & 근무 시간

  • 일반적으로 정해진 출퇴근 시간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음
  • 프리랜서라 해도 오전 9시 출근, 오후 6시 퇴근을 강제하는 프로젝트가 많으므로 현실적으로 맞춰야 할 수도 있음
  • 대신 야근 & 주말 근무 강요는 명확히 선을 그을 필요 있음

💡 2) NDA(기밀 유지) 기간

  • 한국에서는 프리랜서 계약서에 과도하게 긴 기밀 유지 조항(예: 5년 이상)이 포함된 경우가 많음
  • 현실적으로 1~2년 이내로 협의하는 것이 좋음
  • ✍️ 예시: “계약 종료 후 1년간 기밀 유지 의무를 준수한다.”

💡 3) 유지보수 또는 추가 계약 가능성

  • 계약 종료 후 추가 지원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음
  • 처음부터 유지보수 가능성을 협의하고, 별도 계약을 할 수 있도록 조항을 넣는 것이 좋음

📌 3. 현실적인 협상 전략 – 어떻게 요청해야 할까?

📌 계약서를 수정 요청할 때 너무 많은 항목을 요구하면 부담스러워할 수 있음.
📌 그래서 “최소한 지켜야 할 핵심 조항”만 수정 요청하고, 나머지는 유연하게 대처하는 게 현실적인 방법.

✅ 협상 전략 1: 핵심 사항만 조정 요청하기

  • “대부분의 계약 조항은 괜찮습니다만, 몇 가지 중요한 부분만 협의하고 싶습니다.”
  • “특히 지급 일정과 계약 해지 조항은 현실적으로 조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 이렇게 하면 고객사가 “이 사람은 현실적인 협상을 할 줄 아는 사람이구나”라고 인식함.

✅ 협상 전략 2: 우선 작은 조정 요청 후, 추가 협의 유도

  • 첫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만 수정 요청
  • 이후 “이 부분도 협의 가능할까요?”라는 식으로 단계별 협상 진행

✅ 협상 전략 3: 대안 제시 후 협상

  • 고객사가 “우리 계약서는 원래 이렇게 진행됩니다”라고 하면,
    → “그러면 이 조항을 이런 식으로 조정하는 것은 가능할까요?”
    → 즉, 완전한 삭제 요청보다는 완화된 대안을 제시하는 방식이 효과적

📌 4. 최종 정리 – 현실적인 프리랜서 계약 협상 가이드

✅ 1) 꼭 고수해야 할 핵심 조항

  • 계약 해지 시 일방 해지 방지 & 보상 조항 추가
  • 지급 일정 명확히 (매월 지급 & 지연 방지 조항 포함)
  • 추가 업무 발생 시 별도 협의 조항 추가
  • 산출물 저작권 및 포트폴리오 활용 가능 여부 명시

✅ 2) 현실적으로 타협할 수 있는 조항

  • 출퇴근 시간 & 근무 조건 (가능하면 유연한 협의 요청)
  • NDA 기밀 유지 기간 (과도하게 긴 경우 조정 요청)
  • 유지보수 및 추가 계약 협의 가능성

✅ 3) 협상할 때 전략

  • 처음부터 모든 걸 수정 요청하지 말고, 중요한 부분만 먼저 요청
  • 현실적으로 조정 가능한 부분을 단계적으로 협의
  • 수정 요청 시 고객사 입장을 고려한 대안 제시

📌 결론: 현실적인 협상을 통해 내 권리를 최대한 지키는 것이 중요!

💡 한국에서는 프리랜서에게 불리한 계약서가 많지만, 무조건 계약을 포기할 필요는 없음.
💡 중요한 핵심 조항만 수정 요청하면서, 현실적으로 고객사와 타협하는 전략이 필요함.
💡 장기적으로 프리랜서 커리어를 유지하려면, “어느 정도의 타협과 보호를 동시에 하는 계약 협상”이 중요함.

🚀 즉, 계약서를 받을 때 단순히 사인하지 말고, “최소한의 보호 장치”는 꼭 넣을 수 있도록 협상하는 게 핵심 전략! 💪

#프리랜서 #계약 #프리랜서계약 #계약위반 #권리보호 #계약협상 #협상가이드 #프리랜서협상가이드

Author: 모요
댓글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

©2024 MOYO Blog with DAON Consulting Co,LTD.

CONTACT US

We're not around right now. But you can send us an email and we'll get back to you, asap.

보내는 중입니다..

로그인하세요.

계정 내용을 잊으셨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