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에서 팀원으로서 최고의 성과를 내던 에이스가 리더로 승진했을 때, 모든 조직이 성공적인 결과를 기대하진 않는다. “좋은 팀원이 반드시 좋은 리더가 되는 것은 아니다”라는 말처럼, 리더 역할에서 요구되는 역량과 팀원 역할의 역량은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많은 조직에서 유능한 팀원이 팀장이 되었을 때, 그들의 새로운 역할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조직 전체를 위험에 빠뜨리는 사례가 흔히 발생한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실패를 넘어 조직 몰락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조직이 망가지는 과정: 유능한 팀원의 리더십 실패
1. 탁월한 팀원에서 권위적인 팀장으로 변모
유능한 팀원일수록 본인이 이뤄낸 성과와 기준을 타인에게 동일하게 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 지적질과 비난: 팀원들이 자신의 기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이를 탓하거나 지나치게 지적한다.
- 관리와 통제의 과잉: 팀원들에게 자신의 방식대로 일을 시키려 하고, 팀원의 창의성을 억압한다.
결과적으로 팀원들은 팀장의 눈치를 보며 수동적으로 행동하게 되고, 이는 팀 전체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2. 팀원의 동기 상실과 퇴사로 이어지는 도미노 효과
권위적인 리더십 하에서 팀원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표현하거나 창의적으로 일할 기회를 잃는다.
- 팀원들은 점점 소극적 태도를 보이며, “팀장이 하라는 대로만” 일하는 경향을 보인다.
- 이는 팀원들에게 큰 스트레스와 피로감을 주며, 결국 유능한 인재들이 퇴사를 결심하게 만든다.
팀장이 이탈한 팀원을 탓하며 새로운 팀원을 영입해도, 이런 리더십 스타일이 유지되는 한 문제는 반복된다.
결과적으로 조직은 유능한 인재를 계속해서 잃으며 경쟁사에 뒤처지게 된다.
3. 조직의 몰락
팀원들이 떠난 자리에는 평균 이하의 역량을 가진 구성원만 남거나, 팀 전체가 수동적이고 창의성이 결여된 조직으로 전락한다.
- 조직은 점점 내부 결속력을 잃고, 팀원 간의 협업과 시너지가 사라진다.
- 결국 조직은 성장이 멈추고, 시장에서 도태되는 길을 걷게 된다.
유능한 리더는 협업을 유도한다: 삼국지에서 배우는 리더십
리더십 실패와 성공의 대조는 삼국지에서도 잘 드러난다. 삼국지의 유비는 개인적 능력이 크게 뛰어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관우, 장비, 제갈량, 조운 등 유능한 인재들을 끌어모으고 협력하게 하는 리더십을 보여준다.
1. 유비의 인덕과 포용
유비는 개인의 성과나 권위를 앞세우지 않고, 능력 있는 사람들에게 역할과 권한을 부여하며 신뢰를 얻었다.
- 관우와 장비는 유비의 인덕에 충성을 다했고, 제갈량은 유비의 신뢰 아래 자신의 전략을 펼쳤다.
- 유비는 항상 팀원들의 공로를 인정하고, 자신이 그들의 성과를 지지하는 리더로서 행동했다.
2. 잘못된 리더십의 사례: 동탁과 조조
반면, 동탁은 독재적 리더십과 개인적 욕심으로 조직을 분열시켰고, 조조는 뛰어난 전략가였지만 지나친 통제와 의심으로 인해 충성심을 잃는 사례가 많았다.
- 동탁은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잔혹한 방법을 사용했고, 이는 팀원들과의 신뢰를 무너뜨렸다.
- 조조는 능력 있는 사람들을 중용했지만, 지나친 의심으로 많은 인재를 잃었다.
현대 사례: 국내외 리더십 실패
1. 국내 사례: 권위적 리더십의 실패
국내의 많은 기업에서 뛰어난 실적을 낸 팀원 출신이 리더가 되었지만, 조직 전체를 관리하는 능력 부족으로 몰락한 사례가 있다.
- 한 IT 기업에서는 스타 개발자가 팀장이 되었으나, 팀원들을 “성과가 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지속적으로 탓하며 팀의 사기가 저하되었다. 결국 팀원들이 퇴사하며 프로젝트가 실패로 끝났다.
2. 해외 사례: 성공하는 리더십
세계적인 기업 구글은 협업과 신뢰를 강조하는 리더십을 바탕으로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다.
- 팀장에게는 팀원들을 통제하기보다는 아이디어와 창의성을 유도하는 책임이 부여되며, 팀원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도록 심리적 안전감을 제공한다.
좋은 리더의 조건
1. 협업을 유도하는 리더십
좋은 리더는 팀원들이 각자의 역량을 발휘하도록 유도하며, 협업의 시너지를 창출한다.
- 팀원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고, 실패를 배움의 기회로 삼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 팀 전체의 성과를 팀원들과 공유하며, 공로를 인정한다.
2. 신뢰와 소통
리더는 자신의 권위를 앞세우기보다는 팀원들과 신뢰를 쌓고, 열린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3. 성장 환경 조성
팀원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그 성장이 조직의 성공으로 이어지도록 방향을 설정한다.
결론: 리더십은 조직의 생존과 직결된다
좋은 리더십은 팀원들의 성과를 극대화하고, 조직 전체를 성장시키는 원동력이다. 반대로 권위적이고 지적에만 치중하는 리더십은 팀원들의 의욕을 꺾고 조직의 몰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리더십의 핵심은 개인이 아닌 팀 전체의 성공을 위한 협업과 신뢰다. 삼국지의 유비처럼 인재를 신뢰하고 협력을 유도하는 리더가, 현대 조직에서도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어낼 것이다.
#리더십 #팀워크 #조직관리 #리더십실패 #유비리더십 #삼국지리더십 #권위적리더십 #팀성과 #팀원관리 #조직문화 #성공적인리더십 #협업과신뢰 #리더역량 #조직몰락 #팀장역할 #인재관리 #리더십사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