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 사업장 셋팅 방법: 한눈에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SAP에서 세무 사업장 셋팅 방법에 대해 쉽게 정리해 드리려고 합니다. 처음 시작할 땐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한 단계씩 따라오시면 금방 이해하실 거예요. 😊

사업장의 개념, 꼭 알아야 할 포인트!

사업장이란, 말 그대로 사업자가 사업을 운영하는 고정된 장소를 뜻해요.

부가가치세법에 따라 사업자 등록 여부를 기준으로 정의됩니다.

• 각 사업장은 관할 세무서를 정하는 기준이자 부가가치세를 계산하는 단위로 사용돼요.

• 만약 사업장이 여러 곳이라면, 사업자별로 등록, 세금계산서 발급, 신고/납부를 해야 합니다.

사업장 단위 과세 제도를 적용받고 있다면 사업장코드를 종사업장번호로 하는 것이 유지보수 하기 편하다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세팅 위치: 어디서 시작하나요?

셋팅은 아래의 메뉴에서 시작합니다.

1. 부가가치세 설정:

• 재무회계 > 전역 설정 > 부가가치세 > 기본 설정 > 대한민국 > 사업장 정의

2. 원천징수세 설정:

• 재무회계 > 원천징수세 > 기본 설정 > 대한민국 > 세무서 및 지방세무서 정의

이 메뉴만 기억하면, 기본 셋팅 준비는 끝이에요!

셋팅 내용: 하나씩 따라 해봅시다!

1. 업태 등록

먼저 Type of Business(업태)를 등록합니다.

이 단계는 사업의 성격을 정의하는 거예요.

2. 업종 등록

다음으로 Type of Industry(업종)를 등록합니다.

이건 구체적인 사업 분야를 나타내죠.

3. 사업장 등록

이제 본격적으로 Business Place(사업장)를 등록합니다.

조직 구조 상, 사업장은 Company Code에 종속됩니다.

• 하나의 Company Code에 여러 사업장을 연결할 수 있어요.

• 등록 시 필요한 정보:

• 대표자 이름

• 업태 및 업종

• 대표자 주민등록번호

• 사업자등록번호

• 관할 세무서 코드

실무 사례: L 사

L사의 경우, 한국에 본사 사업장이 하나만 있었어요.

하지만 네덜란드와 노르웨이에서 부가세를 별도로 신고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사업장을 추가로 구분했어요:

1010: 한국 본사 (한국 부가세 신고)

1020: 네덜란드 영업소 (외국 납부세액 발생)

1030: 노르웨이 영업소 (외국 납부세액 발생)

이렇게 나라별로 구분하면, 부가세 신고와 세금 전기가 훨씬 깔끔해집니다.

플랜트 연결하기

사업장을 등록한 후엔, Plant에도 연결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SD/MM 모듈에서 판매나 구매 시 부가세를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해서죠.

이 단계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Plant와 Company Code를 기준으로 사업장을 할당합니다.

세무서 및 시군구청 등록

마지막으로 관할 세무서와 지방세무서를 등록합니다.

1. 세무서 등록: 국세를 담당하는 관할 세무서를 등록합니다.

2. 시군구청 등록: 지방세를 담당하는 관할 시군구청을 등록합니다.

3. 세무서-시군구청 연결:

법인의 사업장들을 Section 코드로 구별하고,

세무 사업장, 관할 세무서, 시군구청을 1:1:1로 매칭합니다.

이렇게 따라 하면 SAP에서 세무 사업장 셋팅이 끝납니다.

혹시나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 주세요!

오늘도 성공적인 업무 되세요! 😊

Author: 모요
댓글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

©2024 MOYO Blog with DAON Consulting Co,LTD.

CONTACT US

We're not around right now. But you can send us an email and we'll get back to you, asap.

보내는 중입니다..

로그인하세요.

계정 내용을 잊으셨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