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 SAP 프로젝트 중 과도한 커스터마이징과 비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 사례는 여러 기업에서 보고된 바 있습니다. 특히 SAP는 대규모 기업에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필수 플랫폼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사례가 존재합니다. 아래는 국내 SAP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비슷한 사례와 주요 문제점을 정리한 것입니다.


1. 사례: 과도한 커스터마이징으로 인한 프로젝트 지연

  • 기업 유형: 대규모 제조업체.
  • 문제:
    제조 공정의 특수성을 강조한 고객사가 SAP 표준 프로세스를 거의 활용하지 않고, 모든 프로세스를 커스터마이징으로 해결하려다 프로젝트 일정이 1년 이상 지연됨.
    • 고객사 내부에서 서로 다른 부서들이 각기 다른 요구사항을 제시.
    • SAP 컨설턴트들은 고객사의 비표준 요구를 수용하면서 과도한 CBO 프로그램 개발.
  • 결과:
    • 프로젝트 완료 후 시스템은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렵고 유지보수가 불가능한 상태가 됨.
    • 시스템이 운영된 지 2년 만에 재구축 프로젝트 진행.

2. 사례: 여신 관리 실패와 데이터 불일치

  • 기업 유형: 대형 유통업체.
  • 문제:
    고객사가 특정 거래처의 여신 한도를 SAP 표준 기능으로 관리하지 않고, CBO로 구성하려고 시도.
    • 여신 데이터를 여러 소스에서 가져오도록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설계.
    • 결과적으로 데이터 일관성이 깨지고, 동일 거래처에 대해 중복된 여신이 허용됨.
  • 결과:
    • 여신 초과로 인한 미수금 발생.
    • 프로젝트 이후 유지보수 비용 급증.

3. 사례: 최종 사용자의 요구사항 미반영

  • 기업 유형: 중견 제조업체.
  • 문제:
    SAP 시스템이 오픈된 후, 최종 사용자들이 기존 시스템과의 사용 방식 차이로 인해 불만을 제기.
    • 고객사 PI 팀이 초기 단계에서 요구사항을 명확히 정의하지 못하고, 전적으로 컨설턴트에게 맡김.
    • SD 모듈과 FI 모듈 간의 데이터 연계 문제 발생.
  • 결과:
    • 최종 사용자의 불만과 내부 마찰이 커지면서 프로젝트의 ROI가 크게 감소.

4. 사례: SAP 업그레이드 중 유지보수 문제

  • 기업 유형: IT 서비스 기업.
  • 문제:
    기존 SAP 시스템에 다수의 CBO 프로그램이 추가된 상태에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려다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
    •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커스터마이징된 코드가 표준 코드와 충돌.
    • 수백 개의 CBO 프로그램을 일일이 검토하고 수정하는 데 수개월 소요.
  • 결과:
    • 업그레이드 비용이 당초 예상보다 50% 이상 증가.
    • 시스템 안정성 저하로 최종 사용자 불편.

공통된 문제점

  • 과도한 커스터마이징:
    고객사가 SAP 표준 기능을 활용하지 않고 모든 요구를 커스터마이징으로 해결하려는 접근.
  • 책임 회피:
    고객사 PI 팀이 요구사항 정의나 프로세스 설계를 컨설턴트에게 전적으로 의존.
  • 소통 부족:
    컨설턴트와 고객사 간의 의사소통 부족으로, 실제 요구사항이 반영되지 않음.
  • 최종 사용자 참여 부족:
    최종 사용자가 초기 설계 단계에 참여하지 않아, 오픈 후 큰 불만 발생.

대응 방안

  1. 표준 기능 우선 사용:
    고객사와 컨설턴트가 협력하여 표준 기능으로 최대한 요구사항을 해결.
  2. 명확한 요구사항 정의: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고객사 PI 팀이 요구사항을 문서화하고, 최종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
  3. 중재자 역할 강화:
    프로젝트 리더(PMO)가 고객사와 컨설턴트 간의 갈등을 조율하고, 비효율을 최소화.
  4. 정기적인 검토:
    프로젝트 중간 단계에서 모든 커스터마이징 요청을 검토하고, 우선순위를 재조정.

결론

SAP 프로젝트에서 과도한 CBO 개발과 커스터마이징은 프로젝트 지연, 유지보수 비용 상승, 데이터 오류 등 심각한 문제를 초래합니다. 대한민국에서도 이러한 사례는 빈번히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객사와 컨설턴트 간의 협력, 표준 기능 우선 사용, 요구사항 정의 등이 필수적입니다. SAP 프로젝트의 성공은 간소화와 일관성에 달려 있습니다.

추천 기사 및 자료

  1. 실패 없는 클라우드 ERP 도입과 활용 방안 – SAP Korea
    • 클라우드 ERP 도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패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
  2. ERP 구현 선진사례와 피해야 할 리스크 – SAP
    • ERP 시스템 도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리스크와 이를 예방하기 위한 선진사례.
  3. SAP 고객 사례 모음 – SAP Korea
    • 다양한 SAP 프로젝트 고객 사례를 통해 성공 및 실패 요인을 상세히 확인 가능.
  4. PDF: S/4HANA 적용 사례 및 고려사항
    • SAP S/4HANA 시스템 전환과 관련된 실제 구현 사례와 고려사항.
  5. 웅진 IT – 제조 산업 프로젝트 사례
    • SAP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제조업 분야의 다양한 사례를 소개.

#SAP프로젝트 #CBO과다개발 #커스터마이징문제 #SAP표준기능 #프로젝트실패원인
#ERP구축사례 #SAP프로세스효율화 #고객사요구관리 #CBO리스크 #SAP유지보수
#여신관리실패 #프로젝트일정지연 #최종사용자참여 #SAP업그레이드문제 #PI팀책임
#ERP커스터마이징 #SAP성공전략 #한국SAP사례 #프로젝트소통 #프로젝트갈등관리

Author: 모요
댓글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

©2024 MOYO Blog with DAON Consulting Co,LTD.

CONTACT US

We're not around right now. But you can send us an email and we'll get back to you, asap.

보내는 중입니다..

로그인하세요.

계정 내용을 잊으셨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