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AP 프로젝트에서 AS-IS 분석서, TO-BE 프로세스 정의서, GAP 리스트는 각기 다른 목적과 역할을 가진 중요한 문서입니다. 이 문서들이 프로젝트 초기에 잘 작성되어야 이후의 시스템 설계와 구현이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각 문서를 작성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르며, 고객사 PI와 컨설턴트 간의 협업이 필수적입니다.
1. AS-IS 분석서: 현재 프로세스의 상태를 명확히 파악
AS-IS 분석서는 현재 고객사의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이를 상세히 기록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고객사의 업무 환경, 주요 업무 흐름, 문제점, 비효율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 작성 방법
- 주요 업무 프로세스와 단계별 활동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예: 흐름도, 다이어그램).
-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문서, 도구 등을 기록합니다.
- 현재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비효율성을 구체적으로 명시합니다.
- 작성 시 유의점
- 너무 포괄적이거나 불필요한 세부 사항을 기록하지 않습니다.
- 고객사의 실제 업무를 반영하도록 정확성과 현실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2. TO-BE 프로세스 정의서: 미래 프로세스를 설계
TO-BE 프로세스 정의서는 AS-IS 분석서를 기반으로, 고객사가 앞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미래의 업무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고객사의 비전과 개선 목표를 반영하며, 프로젝트의 핵심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 작성 방법
- AS-IS 분석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설계합니다.
- 회사의 비전, 목표, 업무 효율성을 고려하여 프로세스를 변경하거나 추가합니다.
- 각 프로세스가 다른 부서 및 시스템과 어떻게 연동될지를 명확히 정의합니다.
- 작성 시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방법
- 문제 1: AS-IS를 그대로 답습하는 경우
일부 PI는 변경에 대한 고민 없이 기존 프로세스를 그대로 가져오려 합니다.
→ 해결: 컨설턴트는 SAP 표준 프로세스나 업계 모범 사례를 제시하여 개선 방향을 논의합니다. - 문제 2: 과도한 아이디어로 실행 불가능한 설계
반대로, 일부 PI는 너무 이상적인 프로세스를 설계하거나 다른 프로세스와 충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해결: 컨설턴트와 협력하여 실행 가능한 방향으로 수정하고, 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설계를 구체화합니다.
- 문제 1: AS-IS를 그대로 답습하는 경우
3. GAP 리스트: SAP 표준 프로세스와의 차이점 분석
GAP 리스트는 고객사의 업무 프로세스와 SAP 표준 프로세스 간의 차이를 기록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차이를 분석하여 시스템 설계와 커스터마이징 방향을 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 작성 방법
- SAP 표준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고객사의 AS-IS 및 TO-BE 프로세스를 비교합니다.
- 표준 프로세스에서 벗어나는 부분을 리스트로 작성합니다.
- GAP 해결 방법(커스터마이징, 추가 개발, 업무 변경 등)을 명시합니다.
- 작성 시 어려움과 해결 방법
- 고객사 PI의 SAP 표준 프로세스 이해 부족
고객사 PI가 SAP 표준 프로세스를 알지 못하면 GAP 리스트 작성이 어렵습니다.
→ 해결: 컨설턴트가 SAP 표준 프로세스를 사전에 설명하거나 교육을 진행합니다.
→ 예: 컨설턴트가 프로세스를 시연하거나, 고객사 업무에 맞는 표준 사례를 제시. - GAP 해결 방향성 논의 충돌
GAP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업무 변경과 시스템 커스터마이징 간의 우선순위를 두고 의견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해결: 비용, 시간, 시스템 유지보수의 용이성 등을 기준으로 객관적인 의사 결정을 돕습니다.
- 고객사 PI의 SAP 표준 프로세스 이해 부족
컨설턴트와의 협업: 필수적인 가이드와 지원
각 문서 작성 과정에서 고객사 PI는 컨설턴트의 도움을 적절히 받아야 합니다.
- 컨설턴트의 역할
- SAP 표준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 제공
- 문서 작성 템플릿과 가이드 제공
- 고객사 실정에 맞는 프로세스 설계 제안
- GAP 해결을 위한 옵션과 방향성 제시
- 효과적인 협업을 위한 팁
- 문서 초안은 고객사 PI가 주도적으로 작성하되, 초안 작성 이후 컨설턴트와 함께 검토합니다.
- 논의가 필요한 항목은 주간 회의를 통해 투명하게 공유합니다.
- 문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교육이나 워크숍을 주기적으로 진행합니다.
결론: 고객사 PI의 역할과 컨설턴트의 지원
AS-IS 분석서, TO-BE 프로세스 정의서, GAP 리스트는 SAP 프로젝트의 기초를 다지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고객사 PI가 이 문서들을 주도적으로 작성해야 프로젝트의 실질적인 주도권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SAP 표준 프로세스와 시스템 구현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컨설턴트의 전문적인 지원은 필수적입니다.
효율적인 협업과 명확한 역할 분담을 통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습니다.
#SAP프로젝트 #ASIS분석 #TOBE프로세스 #GAP리스트 #효율적문서작성 #컨설턴트협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