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는 프리랜서라도 고객사 조직문화에 맞추는 게 현실적으로 중요하고, 평판이 다음 프로젝트 수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즉, 완벽하게 프리랜서로서 독립성을 주장하기보다는, 적절한 타협점을 찾는 게 현실적인 전략일 거야.

그래서 완전히 정규직처럼 끌려가지 않으면서도, 고객사 분위기에 맞춰서 유연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고민해보면 좋을 것 같아.


📌 1. 무조건 다 맞출 필요는 없음 – “필수 타협 vs 불필요한 양보”

💡 현실적으로 타협해야 하는 부분 (고객사 분위기 맞추기)
✅ 출퇴근 시간: 고객사가 강하게 요구하면, 어느 정도 맞추는 게 현실적
✅ 팀과의 관계: 원만한 협업을 위해 기본적인 예의 & 분위기 맞추기 필요
✅ 업무 프로세스 적응: 내부 시스템이나 규정을 따르는 건 불가피
✅ 어느 정도의 추가 업무: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일부 유연하게 대처 가능

❌ 그러나, 타협하면 안 되는 부분 (프리랜서로서 지켜야 할 선)
🚫 계약 외 추가 업무를 무료로 해주는 것
🚫 야근 & 주말 출근을 무조건 강요받는 것
🚫 정규직처럼 연차/휴가 제한을 받는 것
🚫 장기적으로 무리한 요구를 받아들이는 것

💡 즉, 고객사 분위기에 어느 정도 맞추더라도, 내가 손해보는 부분까지 희생할 필요는 없음.


📌 2. 평판 관리를 위한 현실적인 전략 – “팀에 잘 맞으면서도 내 원칙 지키기”

✅ 1) “적절한 협업 태도”를 보여주기

  • “저는 프리랜서지만,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회사 문화에 맞추되, 핵심적인 원칙은 유지하는 태도

✅ 2) 고객사 조직문화가 워라밸을 해치지 않는지 확인하기

  • 초반 1~2개월 동안 야근, 추가 업무 강요 수준을 파악
  • 정규직과 비교해서 너무 많은 걸 요구한다면, 자연스럽게 선을 긋기

✅ 3) 추가 업무 요청이 들어오면, 처음부터 유연하지만 명확한 선 긋기

  • “이 부분은 제 계약 업무 범위가 아니지만,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일정 부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 “다만, 정규 업무 외 추가 업무가 계속 발생하면 협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4) 초반 3~6개월 동안 분위기 파악 후 장기 전략 조정

  • “이 프로젝트에서 계속 갈지, 아니면 더 나은 조건의 프로젝트를 찾을지 판단”
  • 고객사가 너무 프리랜서를 정규직처럼 취급하면, 이후 프로젝트를 바꾸는 것도 현실적 전략

📌 3. 현실적으로 한국에서 프리랜서로 성공하려면?

💡 한국에서는 프리랜서도 “팀원처럼” 행동하는 것이 다음 프로젝트 수주에 유리한 경우가 많음.
💡 그러나, 장기적으로 너무 팀에 종속되면, 결국 프리랜서의 장점을 잃게 됨.
💡 따라서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필요한 부분”만 맞추고, 불필요한 희생은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함.

🚀 즉, “나는 프리랜서다”를 강조하기보다는, “나는 독립적인 전문가지만,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유연하게 협업할 수 있다”는 이미지를 주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접근 방식! 🎯

#프리랜서 #프리랜서원칙 #갑질 #갑질대응 #고객사갑질 #고객갑질

Author: 모요
댓글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

©2024 MOYO Blog with DAON Consulting Co,LTD.

CONTACT US

We're not around right now. But you can send us an email and we'll get back to you, asap.

보내는 중입니다..

로그인하세요.

계정 내용을 잊으셨나요 ?